![](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caFvz/btrtRXodNsB/g9j7Rxf0ED4eoBlTFH7PO0/img.png)
몇몇 포스팅과 조금 오래된 책들을 보면 필터(Filter)는 서블릿 기술이라서 Spring의 빈으로 등록할 수 없으며 빈을 주입받을수도 없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Filter 역시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가능하고, 빈의 주입도 받을 수 있는데 왜 이러한 설명들이 나오게 되었는지 다뤄보고자 합니다. 1. 서블릿 필터(Servlet Filter)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 가능한 이유 [ 필터(Filter)는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불가능했다! ] 몇몇 포스팅과 예전 책들을 보면 필터(Filter)는 서블릿 기술이라서 Spring의 빈으로 등록할 수 없다는 내용이 나온다. 또한 필터는 J2EE표준 스펙 기능이지만 인터셉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기술이므로 필터와 달리 인터셉터는 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47MJ/btruoLANcBX/PGj5ChJokrA8yHB84C75SK/img.png)
업무를 진행하면 PR(Pull Request)를 올리고 리뷰 후에 머지를 하게됩니다. 문제는 머지된 브랜치가 자동 삭제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러한 이유로 브랜치를 삭제하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로우며 놓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Github PR(Pull Request) 머지 후에 브랜치를 자동 삭제하는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GitHub PR(Pull Request) 머지 후에 브랜치 자동 삭제하기 [ GitHub PR(Pull Request) 머지 후에 브랜치 자동 삭제하기 ] GitHub에서 협업을 하다 보면 PR(Pull Request)를 작성한 후에 이를 머지해야 한다. 문제는 머지된 브랜치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아서 번거롭다는 것인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 ProBo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zRjj/btrs3TfA1sT/8RDti71jWRtjmgeoLolzrk/img.png)
이번에는 SpringBoot의 실행 과정을 소스 코드로 직접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빈들을 찾아서 객체로 만들고 후처리를 해주는 refresh 메소드를 자세히 살펴보았는데, 마지막으로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 동작 과정을 코드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많은 디자인 패턴이 적용되어 있고, 요청을 처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이자 핵심 클래스인만큼 열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SpringBoot 2.6.3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 동작 과정 [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 동작 과정 ] 디스패처 서블릿은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는 프론트 컨트롤러이다. 디스패처 서블릿의 동작 과정을 이해하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0uZC8/btrsUbAFIAm/fKGz9I8uGVn0HPWURovJ7k/img.png)
이번에는 SpringBoot의 실행 과정을 소스 코드로 직접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SpringBoot의 run 메소드를 자세히 살펴보았는데, refreshContext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이번에는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refresh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SpringBoot 2.6.3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Context)의 refreshContext 동작 과정 [ refreshContext 동작 과정 ] refreshContext 메소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ShutdownHook을 등록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private boolean regist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JWY8/btrr16zsIEm/UBGONHNRb3nnCOCVmAXmS1/img.png)
이번에는 SpringBoot의 실행 과정을 소스 코드로 직접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SpringBoot의 SpringBootApplication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만들어진 SpringBootApplication를 통해 run 메소드를 호출하고 실행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계획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SpringBoot 2.6.3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SpringBootApplication의 run 메소드와 실행 과정 [ SpringBootApplication의 run 메소드 ] 앞선 포스팅에서 SpringApplicaiton 클래스의 run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최종적으로 호출되며 실제 run 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