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품은 가설의 조합이다. [ 될 놈 그리고 안될 놈]기업으로서의 구글은 실패가 혁신의 불가피한 부산물임을 알고 있기에 관대하게 실패를 그대로 인정해준다. 하지만 구글의 직원 개개인은 분명 실패를 두려워 하고 있었고, 대부분은 이미 성공했거나 잘 알려진 제품 관련 부서에서 일하는 쪽을 선호했다. ‘성공’ 하면 떠오르는 사람이 되고 싶고, 실패는 피하고 싶기 때문이다.하지만 모두가 성공한 제품에서 일할 수는 없으며, 우리는 계속해서 시장에 새로운 제품을 출시해야 한다. 현실은 다음과 같기에 실패를 존중하는 편이 이롭다.대부분의 신제품은 시장에서 실패한다. 유능하게 실행해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제품이 실패하는 이유는 처음부터 제품 아이디어가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제품을 제대로 만들지만, ‘될 ..
1.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내용 정리[ 1. 시장 실패의 법칙 ]시장 실패의 법칙팩트를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일이 처음에는 언짢을 수도 있지만, 팩트를 무시하기로 결심한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을 여러 문제와 고통에 비하면 그런 불편은 아무것도 아니다.우리가 탐구할 팩트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받아들이기가 힘들다. 적어도 처음에는, 인정하기 힘들 수 있다.확고하고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초한다. 가느다란 희망이나 위태로운 신념 또는 언제든 바뀔 수 있는 의견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견고하고 단호하고 영구적이라는 의미에서 확고하다. 팩트는, 적어도 우리 평생에는, 변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팩트는 2번과 3번의 특징, 즉 객관성과 영구성 때문에 보편적이며 시대를 초월한다. 따라서 여러분은 팩트에 익숙해질 필요..

1. @Async에서 The bean could not be injected because it is a JDK dynamic proxy 에러 발생 원인 분석하기[ 문제 발생 상황 ]다음과 같이 TestInterface와 이를 구현한 TestService가 있고, TestService를 주입받는 TestController가 있다고 하자.public interface TestInterface { default void hello() { System.out.println("hello"); }}@Service@Slf4jpublic class TestService implements TestInterface { @Async public void gogo() { lo..
1. Record 클래스의 개념과 도입 배경[ 개발 트렌드의 변화 ]21세기는 두말 할 필요 없이 데이터가 중심인 세상이다. 많은 데이터들이 기록되고 수치화되며,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수 많은 의사결정의 근거가 된다. 또한 MSA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의 교환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자바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 언어로서, 객체를 중심으로 설계되고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OOP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장점이라고 평가받았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복잡한 엔티티(Entity)나 바운더리(Boundary) 등이 점점 덜 중요해지고, 순수한 데이터의 교환이 더욱 중요해지는..

1. Claude Code(클러드 코드) 사용법과 고급 사용팁[ Claude Code란? ]오늘날 많은 AI 개발 도구들이 존재하지만, Claude Code는 가장 사랑받는 선택지 중 하나로, 앤트로픽이 개발한 터미널 기반의 AI 도구이다. Claude Code를 활용하면 기획 문서로부터의 개발 그리고 디버깅과및 문제 해결, 자동화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Claude Code는 터미널에서 실행되기에 기존 개발 환경에 얹어지며, CLI를 기반으로 하여 git이나 bash 등에도 제약 없이 접근이 가능하기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Claude Code는 로컬 환경에서만 동작하기에 보안적으로도 안전하며, 작업을 요청한 경우 프로젝트 전체를 탐색하며 작업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Cl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