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WebMvcTest가 갖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직접 개발해본 라이브러리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매우 초기 버전인만큼 어떠한 버그와 문제가 나올지 모르지만, 써보시고 이슈 등록이나 문제점 공유 등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WebMvcTest에 의해 느려지는 테스트 속도 [ @WebMvcTest에 대하여 ] 스프링부트는 편리한 테스트를 위한 다양한 테스트 어노테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WebMvcTest는 컨트롤러 계층 만을 슬라이스 테스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노테이션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WebMvcTest(MemberController.class) class MemberControllerTest { @MockBean private MemberService..

PATCH 메소드는 2010년도에 뒤늦게 HTTP 표준 스펙으로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스프링 코드도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왜 영향을 받게 되었고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렇게 중요하지도 않은 내용이고 기록용으로 작성하는 것이라서 편하게 읽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뒤늦게 등장한 HTTP PATCH 메소드 [ 뒤늦게 등장한 HTTP PATCH 메소드 ] PUT과 PATCH의 용도 개발을 하다보면 PATCH 메소드에 대해 잘 모르거나, 익숙해하지 않는 분들이 많이 있다. 또한 PUT과 PATCH의 용도를 헷갈리는 개발자들도 많은데, PUT과 PATCH의 용도를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UT: 리소스의 전체 수정 PATCH: 리소스의 부분 수정 PATCH에..

이번에는 @RequestBody에 ArgumentResolver(아규먼트 리졸버)가 동작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고 @RequestBody의 동작을 커스터마이징하여 부가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equestBody에 ArgumentResolver(아규먼트 리졸버)가 동작하지 않는 이유 [ ArgumentResolver(아규먼트 리졸버)란? ] 스프링의 디스패처 서블릿은 컨트롤러로 요청을 전달한다. 그때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하는 객체를 만들고 값을 바인딩하여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ArgumentResolver이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다음과 같은 어노테이션들은 모두 ArgumentResolver로 동작한다. @RequestParam: 쿼리 파라미터 값 바인딩 @Mod..

API를 제공하다 보면 1개의 쿼리 파라미터로 여러 값을 줘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Spring 프레임워크에서는(엄밀히는 톰캣) 여러 개의 값을 1개의 쿼리 파라미터로 줘야할 때 콤마를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처리가 가능한데, 왜 가능한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해서 찾아본 굉장히 불필요한 내용이니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1. 여러 값을 1개의 쿼리 파라미터로 처리해야하는 경우 [ 여러 개의 값을 1개의 쿼리 파라미터로 처리해야하는 경우 ] API를 개발하다보면 여러 개의 값을 1개의 쿼리 파라미터로 넘겨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d값들을 갖는 게시물들을 모두 조회해야 하는 상황이 이러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

이번에는 ControllerAdvice의 동작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코드로 직접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trollerAdvice의 동작 과정 소스 코드로 살펴보기 [ ControllerAdvice의 동작 과정 ] 디스패처 서블릿이 에러를 catch함 해당 에러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기(HandlerExceptionResolver)가 에러를 처리함 컨트롤러의 ExceptionHandler로 처리가능한지 검사함 ControllerAdvice의 ExceptionHandler로 처리가능한지 검사함 ControllerAdvice의 ExceptionHandler 메소드를 invoke하여 예외를 반환함 1. 디스패처 서블릿이 에러를 catch함 스프링에서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는 곳은 디스패처 서블릿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