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스프링 부트의 JAR 파일 처리 방식[ WAR 방식의 한계점과 스프링 부트의 등장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듯, 스프링 부트는 컨테이너리스(Containerless)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대한 요구와 함께 등장했다. 과거에는 톰캣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를 먼저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WAR로 빌드한 후, 빌드한 WAR 파일을 WAS로 옮기고(배포) WAS를 실행하는 절차들이 필요했다.하지만 이는 WAS를 서버에 직접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개발 환경 설정과 배포 과정의 복잡함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프링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제공해준다면, 단순히 main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 만으로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

1. @Async에서 The bean could not be injected because it is a JDK dynamic proxy 에러 발생 원인 분석하기[ 문제 발생 상황 ]다음과 같이 TestInterface와 이를 구현한 TestService가 있고, TestService를 주입받는 TestController가 있다고 하자.public interface TestInterface { default void hello() { System.out.println("hello"); }}@Service@Slf4jpublic class TestService implements TestInterface { @Async public void gogo() { lo..

1. @RequestPart의 동작 방식을 통해 스프링의 MultipartFile 파일 업로드 처리 방식 이해하기 [ MultipartFile 파일 업로드 활성화하기 ]일반적으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으로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2가지 옵션이 사용된다. 먼저 enabled 옵션을 통해 멀티파트를 통한 파일 요청을 활성화하고, 서비스의 안정성을 위해 업로드 가능한 최대 파일의 크기를 지정해줄 필요가 있다.spring.servlet.multipart.enabled=truespring.servlet.multipart.max-file-size=1MBspring.servlet.multipart.resolve-lazily=true 여기에 추가적으로 resolve-lazily 옵션 역시 활용하면 좋다. 해당..

1. 하이버네이트 ddl-auto 옵션과 ddl-auto=validate 옵션의 동작 과정 분석하기(Hibernate ddl-auto =validate option)[ 다양한 하이버네이트의 ddl-auto 옵션과 validate 설정 ]JPA와 Hibernate는 ddl-auto 옵션을 통해 스키마에 대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none: Hibernate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해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음validate: 엔티티 매핑 정보와 실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비교하여 유효성 검사만 수행하도록 Hibernate에 지시함create-only: 엔티티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만 하도록 Hibernate에 지시함drop: 엔티티 모델을 참조하여 DDL DROP..

1. 요청량이 급증하여 톰캣의 초과 스레드가 활용될 때, TIMED_WAITING 상태의 스레드가 급증하는 이유[ TIMED_WAITING 스레드가 급증하는 상황 ]기본 스레드 만을 활용하는 상황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듯, 톰캣은 내부적으로 자바와 거의 유사한 ThreadPoolExecutor를 활용하는데, 해당 과정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러한 부분은 톰캣에 종속적이니, 보다 자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도록 하자.)작업 요청이 들어오면, core 사이즈 만큼 스레드를 생성함core 사이즈를 초과하면 max 사이즈 만큼 스레드(초과 스레드)를 만들어 실행시키는데, 이는 설정된 시간을 넘어서도 활용되지 않으면 소멸됨스레드의 수가 max 사이즈를 초과하면, 더 이상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