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운영 환경을 위한 실용적인 로그 레벨(Practical Log Level)[ 실용적인 로그 레벨(Practical Log Level) ]먼저 개인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느꼈던 로그 레벨에 대한 부분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 환경상황DEBUG개발개발 중에 문제를 추적하고 진단하는 데 사용됨INFO개발, 운영서비스를 운영하고 상황을 이해하는 데 사용됨WARN개발, 운영잠재적인 문제나 주의가 필요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용됨ERROR개발, 운영시스템 오류나 예외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됨 관련 부분을 보다 자세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EBUG개발을 진행하면서 문제를 추적하고 진단하기 위한 개발 및 테스트용 로그주로 로직 검증, 버그 추적, 데이터 흐름 파악을 위해 사용되므로, 운영 ..
1. 지금까지의 AI에 대한 사실과 오해 그리고 현실적인 올바른 활용법[ AI와 함께하는 시대 ]최근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지식 노동자들이 업무에 AI를 활용 중이라고 한다. Stack Overflow 2025 Developer Survey에 따르면, 84%의 개발자가 AI 도구를 사용하거나 사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Microsoft 연구 결과에 따르면 75%의 개발자가 AI 도구를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이 중 64%는 매주 사용한다고 응답했으며, Business Insider의 경우 이미 90%의 엔지니어링 팀이 AI 기반 코딩 도구를 워크플로우에 도입했고, 48%는 두 개 이상의 AI 도구를 병행 사용 중이라고 한다.개발자 뿐만 아니라 마케터의 65%, 기자의 64%, 변호사의 30% ..
1. 클로드 코드(Claude Code) Custom Command 활용 사례 및 예시 [Claude Code Custom Command 활용 사례 및 예시]최근 많은 개발자들이 Claude Code, Gemini CLI와 같은 AI 기반 코딩 도구를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코드 작성, 디버깅, 문서화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 중에서도 핵심 기능 중 하나는 바로 Custom Command라고 볼 수 있다. Claude Code의 Custom Command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명령어를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이를 통해 자신만의 맞춤형 명령어를 만들어 반복적인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번에는 몇 가지의 Custom Command 활용 사..
1. MCP Server 디버깅을 위한 MCP Inspector [ MCP Inspector의 필요성 ]이전에 작성한 토스 테크 블로그에서는 MCP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해당 포스팅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MCP 서버는 크게 다음의 3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rompts: 사용자가 선택하여 호출하는 대화형 템플릿Resources: 클라이언트가 첨부하고 관리하는 컨텍스트 데이터Tools: 클라이언트가 첨부하고 관리하는 컨텍스트 데이터 또한 “MCP 서버 프로토콜, SSE에서 Streamable HTTP 방식으로의 대변경” 포스팅에서는 MCP의 표준 프로토콜에 대해 살펴보았다. MCP 표준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메시지 교환을 위해 JSON-RPC 2.0 기반의 데이터..
1. 힙 객체 헤더의 비효율과 이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자바 객체 헤더(New Java Object Header: Compact Object Headers)[ 힙 객체 헤더의 비효율성 ]앞서 설명하였듯 자바에서 객체의 크기를 구하려면 기본적으로 객체의 헤더 크기에 변수의 크기(원시 타입인 경우) 또는 참조의 크기(참조 타입인 경우)를 더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만약 더해진 값이 8의 배수가 아니라면, 별도의 패딩 바이트를 더하여 객체의 크기가 항상 8의 배수가 되도록 보정하고 있다. Klass 포인터 압축 유무 혹은 최대 힙의 크기 등에 따라 실제 사용되는 바이트의 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64비트 JVM을 기준으로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상태마크 워드의 크기클래스 워드의 크기클래스 포인터 비압축(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