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부터 Docker와 Docker Compose를 설치하기 위한 포스팅을 올리려고 했지만 미루다가 Docker Compose로 ELK 구축 관련하는 포스팅을 작성하기 위해 Docker 설치 관련 내용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Docker에 대한 설명은 제외하고 설치하는 방법들과 명령어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해당 내용은 Docker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1. Docker와 Docker Compose 설치 [ Docker 설치 ]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들이 여러 개 있지만 이번에는 간편한 설치 스크립트를 통해 Docker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1. Docker 설치 스크립트 다운 curl -fsSL https://get.docker.com -o get-docker...

1.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 MicroService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 MicroService Architecture)란? ] 애플리케이션 개발 초기에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하나의 배포 유닛(war 또는 ear)으로 내장시키는 '모놀리식' 방식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최소한의 변경 사항이 있어도 자체적인 QA(Quality Assurance) 주기에 따라 대규모 업데이트를 해야 하거나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전체를 오프라인으로 전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다운타임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모놀리식(monolithic) 접근 방식과 다르게 애플리케이션..

1. 하드웨어 가상화의 종류 [ 가상화의 종류 ] 가상화에도 서버 가상화, OS-Level 가상화, 데스크톱 가상화,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서버를 가상화하는 하드웨어 가상화인 전가상화와 반가상화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하는데,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CPU의 동작 레벨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 CPU의 동작 레벨 ] OS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보안을 위해 권한과 보호 수전에 따라 링(RING) 등급으로 나뉘어진다. Ring 0를 특권 모드라고 하며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는 OS 커널이 동작한다. Ring 1,2는 예약된 상태로,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Ring3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이 동작한다. 2 전가상화 [ 전가상..

1. 가상화(Virtualization)란? [ 가상화(Virtualization)란? ] 가상화란 가상화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주로 Hypervisor)를 사용하여 하나의 물리적 머신에서 가상 머신(VM)을 만드는 프로세스이다. Hypervisor는 가상화 층을 구현하여 물리적 머신의 컴퓨팅 리소스로부터 가상 환경을 분리하고 가상 머신(VM)을 생성한다. VM은 물리적 머신과 동일한 역할 및 성능을 수행하지만, cpu와 메모리 및 스토리지와 같은 물리적 머신의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한다. Hypervisor는 필요에 따라 각 VM에 이러한 컴퓨팅 리소스를 할당한다. 최근에는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도커를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Hypervisor를 사용하지만,..

아래의 실습은 Ubuntu 20.04를 기반으로 포스팅하였습니다. 1. Xen 설치하기 [ 1. 관련 패키지 설치 ] 먼저 Xen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고 업데이트 후에 재부팅한다. // vim 에디터 설치 sudo apt install vim // Xen 관련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xen-hypervisor-amd64 xen-tools // 네트워크 유틸 설치 sudo apt install net-tools //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 재부팅 sudo reboot [ 2. Xen 실행 여부 확인 ] 설치한 Xen 하이퍼바이저가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Xen이 설치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도메인 0 가상머신이 생성되어 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