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sc60/btqUtpT0X7F/ARRrSuekHbueKHTeqIpiNK/img.png)
1. Stream 생성하기 앞서 설명한대로 Stream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Stream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타입에 따라 Stream을 생성하는 방법이 다른데, 여기서는 Collection과 Array에 대해서 Stream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Collection의 Stream 생성 ]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는 stream()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들(List, Set 등)은 모두 이 메소드를 이용해 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stream()을 사용하면 해당 Collection의 객체를 소스로 하는 Stream을 반환한다. // List로부터 스트림을 생성 List list = Arrays.asList("a"..
1. 람다식(Lambda Expression) 이란? Stream 연산들은 매개변수로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를 받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람다식은 반환값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반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Stream API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람다식과 함수형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 람다식(Lambda Expression) 이란? ] 람다식(Lambda Expression)이란 함수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한 것이다. 함수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소드의 이름이 필요 없기 때문에, 람다식은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란 함수의 이름이 없..
1. Stream API에 대한 이해 [ Stream API에 대한 소개 ]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다면 이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하지만 JDK8부터 Stream API와 람다식, 함수형 인터페이스 등을 지원하면서 Java를 이용해 함수형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API 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 중에서 Stream API는 데이터를 추상화하고, 처리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함수들을 정의해두었다. 여기서 데이터를 추상화하였다는 것은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 없이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배열이나 리스트의 데이터를 정렬된 상태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jKha/btqUeXDkUpM/54da0e07OWNO5ANhz5Vsu1/img.png)
1.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에 대한 이해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Programming Paradigm)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Programming Paradigm)은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하고 코드를 어떻게 작성할 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통해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최근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명령형 프로그래밍: 무엇(What)을 할 것인지 나타내기보다 어떻게(How) 할 건지를 설명하는 방식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수행되어야 할 순차적인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방식 (C, C++)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들의 집합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bQUm/btqT18yag04/pTXJX3wB23ouk8az7EgWQ1/img.png)
지난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 같아서 정규화 관련 글을 풀어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정규화(Normalization) [ 정규화(Normalization)이란? ] 정규화(Normalization)의 기본 목표는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타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Integrity)를 유지할 수 있으며, DB의 저장 용량 역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을 분해하는 정규화 단계가 정의되어 있는데, 여기서 테이블을 어떻게 분해되는지에 따라 정규화 단계가 달라지는데, 각각의 정규화 단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제1 정규화 ] 제1 정규화란 테이블의 컬럼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