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의 성능을 높이는 코딩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가비지 컬렉션의 빈도수와 지연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비지 컬렉션을 최적화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Young 영역과 Old 영역의 힙 크기를 알맞게 조정하는 것 객체의 할당(Allocation)이나 Old 영역으로의 이동(Promotion) 등의 작업을 줄이는 것이다. 우선 힙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은 Trade-Off가 있다. 힙의 크기를 줄이면 GC의 빈도수가 많아질 것이고, 늘리면 GC의 지연 시간이 길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첫 번재 방법은 수치를 조절해가고 테스트하며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최적의 설정을 찾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xiT4S/btqURuUWjwY/Wsh133bXvARXfGMunpvSh1/img.png)
1. 다양한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 알고리즘JVM이 메모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것은 개발자의 입장에서 상당한 메리트이다. 하지만 문제는 GC를 수행하기 위해 Stop The World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중지되는 것에 있다. Heap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지연(Suspend)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고, 이를 막기 위해 다양한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 알고리즘을 지원하고 있다. [ Serial GC ]Serial GC의 Young 영역은 앞서 설명한 알고리즘(Mark Sweep)대로 수행된다. 하지만 Old 영역에서는 Mark Sweep Compact 알고리즘이 사용되는데, 기존의 Mark Sweep에 Compact라는 작업이 추가되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a8qQ/btqUSpSocbS/kxTvtnmrdhf4bnVPXth0UK/img.png)
1.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이란? [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이란? ] 프로그램을 개발 하다 보면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인 가바지(Garbage)가 발생하게 된다. C언어를 이용하면 free()라는 함수를 통해 직접 메모리를 해제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Java나 Kotlin을 이용해 개발을 하다 보면 개발자가 메모리를 직접 해제해주는 일이 없다. 그 이유는 JVM의 가비지 컬렉터가 불필요한 메모리를 알아서 정리해주기 때문이다. 대신 Java에서 명시적으로 불필요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null을 선언해준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하자. Person person = new Person(); person.setName("Ma..
1. 빈 스코프(Bean Scope)의 종류 Spring의 Bean은 별다른 설정이 없으면 Singleton Scope로 생성된다. 특정 타입의 Bean을 하나만 만들어 두고 공유해서 사용하기 위해서인데, 이러한 까닭에 Bean에 상태를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동시성 문제를 유별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요구사항과 구현 기능 등의 필요에 따라서 비싱글톤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그리고 이를 명시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scope라는 키워드를 제공한다. Spring 에는 다음과 같은 Scope들이 존재한다. [ Scope의 종류 ] 싱글톤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기본이 되는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1개의 객체로 유지됨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Aq1v7/btrwWmZcw9J/7qtVQoKwmNKhpakuHM1gN0/img.png)
이번에는 Stream API를 연습해볼만한 문제를 제공해보고자 합니다.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해 정답을 확인하도록 제공하고 있으니 직접 문제를 풀어서 정답을 확인해보실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1. 문제 소개 [ 1번 문제 모음 ] 아래와 같은 User.csv가 있다고 할 때, 아래의 CSV 데이터를 조회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고 하자. // User.csv 이름, 취미, 소개 김프로, 축구:농구:야구, 구기종목 좋아요 정프로, 개발:당구:축구, 개발하는데 뛰긴 싫어 앙몬드, 피아노, 죠르디가 좋아요 좋아좋아너무좋아 죠르디, 스포츠댄스:개발, 개발하는 죠르디 좋아 박프로, 골프:야구, 운동이 좋아요 정프로, 개발:축구:농구, 개발도 좋고 운동도 좋아 문제 1.1 위와 같은 데이터를 조회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