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으로 개발을 하다 보면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파일에 있는 리소스를 암호화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리소스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노출시키지 않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Jasypt와 jasypt-spring-boot 라이브러리 [ Jasyp와 jasypt-spring-boot 라이브러리 ] Jasypt 라이브러리는 암호화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암호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 라이브러리이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Jasypt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리소스를 손쉽게 암/복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바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된다. 스프링으로 개발을 하다 보면..

이번에는 Spring에서 사용되는 ObjectMapper의 동작 방식에 대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ObjectMapper를 이용한 직렬화(Serialize)[ ObjectMapper의 직렬화(Serialize) 동작 방식 ]ObjectMapper는 리플렉션을 활용해서 객체로부터 Json 형태의 문자열을 만들어내는데, 이것을 직렬화(Serialize)라고 한다. 해당 부분은 @ResponseBody나 @RestController 또는 ResponseEntity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처리된다. Spring에서는 기본적으로 jackson 모듈의 ObjectMapper라는 클래스가 직렬화를 처리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ObjectMapper의 writeValueAsString이라는 메소드가 사..

이번에는 흔히 얘기하는 POJO 프로그래밍과 Spring 프레임워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들 중에는 토비의 스프링에서 참고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1. EJB와 POJO 프로그래밍 [ POJO의 등장 ] EJB(Enterprise Java Bean)란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단순화하기 위해 Sun 사에서 만들어낸 Java 스펙이다. 스프링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EJB가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다. 하지만 EJB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는데, 바로 코드들이 EJB 기술에 지나치게 종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래의 코드는 EJB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특정 서비스 계층에 EJB라는 기술이 마구 침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import 선언문부터 ..

최근에 있었던 사내 엔지니어링 데이에서 발표를 하였는데, 상당히 편리하지만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OpenFeign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발표하면서 준비했던 내용을 블로그 포스팅에서도 적어두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Spring Cloud OpenFeign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개인적인 경험을 더해 작성한 내용입니다. 1. OpenFeign 타임아웃(Timeout), 재시도(Retry), 로깅(Logging) 등 설정하기 OpenFeign의 설정은 yml과 Java config 모두로 할 수 있다. 만약 yml과 Java config 모두 존재한다면 YML의 정보가 Java config를 덮어씌우며 우선순위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우선순위 설정은 바꿔줄 수 있으며, 심지어 Feign Client 별로 ..

최근에 있었던 사내 엔지니어링 데이에서 발표를 하였는데, 상당히 편리하지만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OpenFeign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발표하면서 준비했던 내용을 블로그 포스팅에서도 적어두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Spring Cloud OpenFeign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개인적인 경험을 더해 작성한 내용입니다. 1. OpenFeign이란? Open Feign 소개 및 역사 [ OpenFeign이란? ] Open Feign은 Netflix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Declarative(선언적인) HTTP Client 도구로써, 외부 API 호출을 쉽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선언적인” 이란 어노테이션 사용을 의미하는데, Open Feign은 인터페이스에 어노테이션들만 붙여주면 구현이 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