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언어를 이용해 개발을 하다 보면 기계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들이 상당히 많다. 이번에는 기계적인 코드 작성을 자동화하여 코드 다이어트를 해주는 Java 필수 라이브러리 Lombo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Lombok의 필요성 [ 기존의 코드 작성 ] 예를 들어 우리가 경기도 지역화폐 가맹점에 대한 상점 목록을 반환해주는 SpringBoot 기반의 API 서버를 개발한다고 가정하자. 우리는 기존에 Java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다양한 VO 클래스들을 생성하였고, 해당 예제의 경우 가게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Store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줄 수 있다. public class Store extends Common { private String companyName; // 상호명 p..

이번에는 Spring Security가 어떤 과정으로 Authentication 처리를 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Spring Security 처리 과정 Spring Security 아키텍쳐는 위와 같으며 각각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Session을 활용한 Spring Security의 구현 방식으로, Session과 Token 기반의 구현방식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 [ 0. 사전 세팅 ] 먼저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Dependency들을 build.gradle에 추가해준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 impleme..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회원의 관리를 하고 있고, 그에 따른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에 대한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Spring에서는 Spring Security라는 별도의 프레임워크에서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Spring Securit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Spring Security란? [ Spring Security란? ] Spring Security는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 인가 등)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이다. Spring Security는 '인증'과 '권한'에 대한 부분을 Filter 흐름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 Filter는 Dispatcher Servlet으로 가기 전에 적용되..

기존의 Spring MVC에서는 xml을 활용하여 Bean을 등록하고 있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용하는 요소들을 xml에 등록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로워 져서 어노테이션(Annotation, @)를 활용한 Bean 등록 방법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Spring에서 Bean을 등록하기 위해 활용가능한 @Bean, @Component,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Spring Bean이란? [ Spring Bean 이란? ] Spring에서는 Spring의 DI Container에 의해 관리되는 POJO(Plain Old Java Object)를 Bean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Bean들은 Spring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Spring의..

클린코드 책을 읽다보면 Enum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얘기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번 내용으로는 Enum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의 코드를 개선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은 배달의 민족 기술 포스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1. 기존의 코드 관리 방법 [ 기존의 코드 관리 방법 ]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 Enum과 같이 열거형이 필요한 타입들의 경우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어떤 글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변수가 있다고 하자. 과거의 시스템과 같은 경우는 아래의 예제와 같이 상수와 관련된 코드들을 별도의 테이블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있었다. @Entity @Table("codeVO")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odeVO ex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