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pring

[Spring] SpringBoot 실행 후에 초기화 코드를 넣는 3가지 방법과 이벤트 리스너(CommandLineRunner, ApplicationRunner, EventListener)

망나니개발자 2022. 4. 3. 10:00
반응형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후에 초기화 코드를 넣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초기화 코드를 넣을 수 있는데, 이번에는 이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토비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서 공부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라이브 코딩 해주시니 직접 가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SpringBoot 실행 후에 초기화 코드를 넣는 3가지 방법과 이벤트 리스너
(CommandLineRunner, ApplicationRunner, EventListener)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초기화 등의 이유로 1회 특정한 코드의 실행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스프링 부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 커맨드라인 파라미터를 위한 CommandLineRunner ]

CommandLineRunner를 구현하는 클래스 생성

CommandLineRunner는 스프링 부트 1.0에 추가된 함수형 인터페이스로써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에 실행되어야 하는 빈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CommandLineRunner는 파라미터로 String 타입의 가변 인자를 받고 있으며 인터페이스 이름 그대로 커맨드 라인으로 받은 스트링 타입의 인자를 파라미터로 받아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CommandLineRunner는 이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정의하고 빈이 등록하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에 자동으로 run 메소드가 실행된다.

@Component
class MangKyuCommandLineRunner implements CommandLineRunner {

    @Override
    public void ru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MangKyu");
    }
    
}

 

 

CommandLineRunner를 람다식으로 구현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작업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에 1회 초기화 작업인데, 위와 같이 클래스로 만드는 것은 무거우며 번거롭다. CommandLineRunner는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므로 다음과 같이 main 클래스에 @Bean과 함께 람다식으로 구현하여 간소화할 수 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

    @Bean
    public CommandLineRunner commandLineRunner() {
        return args -> System.out.println("MangKyu");
    }
}

 

 

@Bean은 @Configuration이 있는 클래스 안에서만 동작하는데, @SpringBootApplication이 갖고 있는 @SpringBootConfiguration 안에 @Configuration이 존재하므로 메인 클래스 역시 빈으로 등록이 되어 가능한 것이다.

 

 

 

 

[ 다양한 파라미터를 위한 ApplicationRunner ]

ApplicationRunner 역시 마찬가지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로써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에 실행되어야 하는 빈을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목적 자체는 동일하지만 ApplicationRunner는 CommandLineRunner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파라미터를 받아서 실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CommandLineRunner는 스프링 부트 1.0에 추가된 반면에 ApplicationRunner는 스프링 부트 2.0에 추가되었다. ApplicationRunner도 비슷하게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등록할수도 있고 람다식으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

    @Bean
    public ApplicationRunner applicationRunner() {
        return args -> System.out.println("MangKyu");
    }
}

 

 

 

[ 이벤트 수신을 위한 EventListener ]

이벤트 리스너 등록 및 이벤트 발행

스프링은 초기부터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내부에서 특정 타입의 이벤트를 던지고, 이를 리슨하는 리스너에게 전달해주는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이를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이용할 수도 있는데, 특정 타입의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해당 리스너를 구현해 빈으로 등록해두면 된다. 이벤트를 수신하는 리스너를 등록하고 이벤트를 발행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ontext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context.addApplicationListener(new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Event>() {
            @Override
            public void onApplicationEvent(ApplicationEvent event) {
                System.out.println("MangKyu");
            }
        });

        context.publishEvent(new ApplicationEvent(context) {

        });
    }
}

 

 

ApplicationEvent의 생정자는 Object 타입을 받고 있는데, 이벤트를 발행하는 객체를 넣는 용도로 존재한다. 위의 코드에서는 ApplicationContext 객체를 넣어주었다. ApplicationListener는 역시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므로 람다식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ontext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context.addApplicationListener(event -> System.out.println("MangKyu"));

        context.publishEvent(new ApplicationEvent(context) {

        });
    }
}

 

 

 

@EventListener를 사용한 이벤트 리스너 등록

하지만 위와 같이 이벤트 리스너를 직접 구현하는 방식은 상당히 번거롭다. 그래서 스프링 4.2부터는 @EventListener 어노테이션이 추가되었는데, @EventListener를 스프링 빈 안에 구현해두면 리스너가 동작하게 된다. 스프링은 애플리케이션이 준비되었을 때 ApplicationReadyEvent 타입의 이벤트를 발행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이 준비되었을 때 어떤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MangKyu");
    }
    
    @EventListener
    public void init(ApplicationReadyEvent event) {
        System.out.println("MangKyu");
    }
}

 

 

앞서 @EventListener는 스프링 빈 안에 넣어야 한다고 했는데, 앞서 살펴보았듯 메인 클래스 역시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므로 메인 클래스 안에서 @EventListener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EventListener는 여러 타입의 메세지를 받을 수 있는데, 특정 타입의 메세지를 받기 위해서는 @EventListener 어노테이션에 이벤트 타입을 넣어주면 되며, 만약 해당 타입이 파라미터로 필요하다면 어노테이션에 적어줄 필요 없이 파라미터로만 명시해주어도 된다.

스프링은 ApplicationReadyEvent 타입의 이벤트를 1회만 발행하는데, 위의 코드에서는 수신하는 리스너가 2개가 존재한다. 이벤트 리스너는 기본적으로 멀티 캐스팅 관계이므로 동일한 타입의 여러 리스너가 등록되었다면 모든 리스너가 이벤트를 받게 된다.



 

커스텀 이벤트와 커스텀 이벤트 리스너의 구현

ApplicationListener의 제네릭 타입으로 ApplicationEvent 하위의 이벤트 클래스를 주면 해당 타입의 이벤트만을 받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접 리스너 어노테이션을 구현할수도 있는데, 이를 코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ontext = SpringApplication.run(TestingApplication.class, args);
        context.publishEvent(new MangKyuEvent(context, "MangKyuEvent"));
    }

    static class MangKyuEvent extends ApplicationEvent {

        private final String message;

        public MangKyuEvent(Object source, String message) {
            super(source);
            this.message = message;
        }
    }

    @Target(ElementType.METHOD)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EventListener
    @interface MangKyuListener {

    }

    @MangKyuListener
    public void mangKyuEvent(MangKyuEvent mangKyuEvent) {
        System.out.println(mangKyuEvent.message);
    }

}

 

 

이러한 이벤트를 발행하고 리스너를 통해 수신하는 개발 방식은 빈들 사이의 관계를 끊어 느슨하게 함으로써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를 중심으로 개발하는 설계 등을 이벤트 주도 설계(Event Driven Architecture) 등이라고도 한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시점에 따라 이벤트를 발행하기 위해 ApplicationEvent를 상속받는 SpringApplicationEvent 추상클래스를 구현해두었고, 다음과 같은 구현체들 역시 만들어두었다. 아래의 내용들은 공식 문서에서 참고한 내용들이다.

  • ApplicationStarting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나서 가능한 빠른 시점에 발행됨
    • Environment와 ApplicationContext는 준비되지 않았지만 리스너들은 등록이 되었음
    • 이벤트 발행 source로 SpringApplication이 넘어오는데, 이후 내부 상태가 바뀌므로 내부 상태의 변경은 최소화해야 함
  •  ApplicationContextInitialized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준비되었으며 initializer가 호출되었음
    • 하지만 빈 정보들은 불러와지기 전에 발행됨
  • ApplicationEnvironmentPrepared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Environment가 준비되었을 때 발행됨
  • ApplicationPrepared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완전히 준비되었지만 refresh 되기 전에 발행됨
    • 빈 정보들은 불러와졌으며 Environment 역시 준비가 된 상태임
  • ApplicationStartedEvent: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refesh 되고나서 발행됨
    • ApplicationRunner와 CommandLineRunner가 실행되기 전의 시점임
  • ApplicationReady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요청을 받아서 처리할 준비가 되었을 때 발행됨
    • 이벤트 발행 source로 SpringApplication이 넘어오는데, 이후에 초기화 스텝이 진행되므로 내부 변경은 최소화해야 함
  • ApplicationFailedEvent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에 실패했을 때 발행됨

 

 

 

위의 3가지 중에서 편한 방법을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에 warm-up을 시킴으로써 첫 요청이 느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리스너는 비지니스 로직에서 불필요하게 연관관계가 복잡해지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트랜잭션과 연관된 작업이라면 @TransactionalEventListener를 사용해주면 된다.

 

 

 

 

관련 포스팅

  1. 스프링 첫 요청이 처리되는데 오래 걸리는 이유(서블릿 초기화와 JIT 컴파일러)와 해결 방법
  2. SpringBoot 실행 후에 초기화 코드를 넣는 3가지 방법과 이벤트 리스너(CommandLineRunner, ApplicationRunner, EventListener)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