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내용에서는 EL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환경 구성에서 파일비트(Filebeat)와 로그스태시(Logstash)에 대한 설정 예시를 다룹니다. 개인적으로 나중에 참고하려고 작성한 내용입니다. 혹시 파일 비트와 로그스태시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1. 파일비트(Filebeat)를 이용한 카프카(Kafka)로의 로그 전송 예시 Filebeat는 로그를 전송해주는 경량화된 프로세스이다. 현재 서버 구성으로는 Nginx와 Tomcat 로그가 모두 있어서 두 가지를 같이 남기고 있다. 파일비트의 yml 파일은 다음과 같은데, 각각 살펴보도록 하자. filebeat.inputs: - type: log enabled: true paths: - /..

아래의 내용에서는 EL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구성 예시를 살펴봅니다. 개인적으로 참고하기 위해 포스팅하는 내용입니다. 1. ELK에 대한 간단한 소개 및 구성 예시 [ ELK 아키텍처 구성 예시 ] [ Filebeat의 역할 ] Filebeat(파일 비트)는 각 서버에 설치되어 로그 파일의 전송을 담당하는 로그 전송 경량화 프로세스이다. 현재 구조에서는 nginx와 tomcat로그가 모두 필요하여 2종류의 로그를 전송하고 있고, 로그의 구분은 필드에 타입을 추가하여 처리한다. 1개의 프로세스를 통해 여러 개의 로그 종류를 전송하는 부분은 Filebeat 설정 쪽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Filebeat는 크게 로그를 가져올 입력 플러그인..

이번에는 Spring에서 사용되는 ObjectMapper의 동작 방식에 대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ObjectMapper를 이용한 직렬화(Serialize) [ ObjectMapper의 직렬화(Serialize) 동작 방식 ] ObjectMapper는 리플렉션을 활용해서 객체로부터 Json 형태의 문자열을 만들어내는데, 이것을 직렬화(Serialize)라고 한다. 해당 부분은 @ResponseBody나 @RestController 또는 ResponseEntity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처리된다. Spring에서는 기본적으로 jackson 모듈의 ObjectMapper라는 클래스가 직렬화를 처리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ObjectMapper의 writeValueAsString이라는 메소드가 사용된..

HTTP 메소드의 속성으로 안전, 멱등, 캐시가능이 있는데, 이번에는 그 중에서 멱등이 무엇이고 Patch가 멱등하지 않은 이유와 Delete가 멱등한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HTTP 메소드의 멱등성(Idempotence)이란? [ HTTP 메소드의 멱등성(Idempotence)이란? ] HTTP 메소드의 속성 중에 안전(Safe), 캐시(Cacheable)과 함께 멱등성(Idempotence)이 있다. RFC 7231 스펙 문서에 보면 멱등성이란 “여러 번 동일한 요청을 보냈을 때, 서버에 미치는 의도된 영향이 동일한 경우” 라고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Safe 요청들(GET, HEAD 등)에 더해 PUT, DELETE가 멱등한 HTTP 메소드라고 나와있다. [ HTTP 메소드의 멱..